본문 바로가기
생활정보

생각보다 더 더러운 리모컨, 제대로 관리하는 법

by 조이요정 2025. 5. 21.
 

 

하루에도 여러 번 손이 가는 리모컨
TV, 에어컨, 셋톱박스까지

무심코 자주 사용하는 물건입니다.

 

작고 익숙한 만큼

위생 관리에 취약한

대표 아이템일 수 있습니다.

 

리모컨은 왜 위생 사각지대일까?

 

리모컨은 손이 자주 닿으면서도
습관적으로는 ‘청소 대상’에서

빠지기 쉬운 물건입니다.

 

✅ 손 씻기 전에도 자주 만짐

✅ 음식 먹으면서도 함께 사용

✅ 거실, 침실, 부엌 등 집안 곳곳에서 이동하며 사용

✅ 버튼 틈새에 먼지와 세균이 쉽게 끼임

 

📌 실제로는 가정 내에서 세균이

가장 많이 검출되는 물건 중 하나라고도 합니다.
눈에 잘 띄지 않다 보니 오히려 더 방치되는 거죠.

 

얼마나 자주 닦아야 할까?

기본적으로는

주 1회 이상 정기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.

 

아래와 같은 경우에는

더 자주 닦아주는 게 좋습니다.

 

👉 감기나 바이러스 유행 시기

👉 아이가 리모컨을 자주 만지는 경우

👉 식사 중에도 자주 사용하는 집

👉 가족 구성원이 많은 다인가정

 

📌 손이 자주 닿는 만큼,
스마트폰처럼 꾸준히 닦아주는 습관

중요합니다.

 

✔ 닦기 전 주의할 점

 

리모컨은 전자기기이기 때문에
물로 세척하거나

직접 분무하는 건 절대 금물!

1️⃣ 건전지 제거 또는 전원 차단
2️⃣ 소독제나 알코올은 천이나 티슈에 묻혀 사용
3️⃣ 면봉이나 마른 칫솔로 버튼 틈새 관리
4️⃣ 키보드용 에어브러시도 유용하게 활용 가능

 

📌 표면을 닦는다는 느낌보단,
부드럽게 관리하는 느낌으로

다루는 게 좋습니다.

 

리모컨 위생 관리 이렇게 해보세요

관리 방법 방법 설명
표면 소독 - 부드러운 천이나 티슈에 소독용 알코올을 살짝 묻혀 닦기
- 버튼 중심으로 부드럽게 문지르기
틈새 청소 - 면봉이나 마른 칫솔로 버튼 틈새 먼지 제거- 버튼이 뻑뻑하다면 이물질 점검
건조 및 마무리 - 완전히 건조된 뒤 건전지 다시 삽입- 건전지 접촉 부위는 물기 닿지 않게 주의

 

✔ 이런 경우엔 교체를 고려하세요

아무리 닦아도 끈적이고 눌림이 불편하다면
교체 시기가 온 것일 수도 있어요.

버튼이 잘 눌리지 않거나 눌려도 반응 없음

겉면이 끈적거리거나 누렇게 변색됨

사용 중 미세한 발열이 느껴짐

버튼을 눌러도 '딸깍' 소리가 안 남

 

📌 오래된 리모컨은 위생상 문제뿐 아니라
작동 오류나 고장의 원인이 될 수도 있어요.

 

마무리

작고 익숙하다고 방심하기 쉬운 리모컨

정기적으로 닦고, 관리하고,

필요할 땐 과감히 교체하는 습관.

이 작은 실천 하나가
우리 집 위생 수준을

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.

 

오늘 한 번,

우리 집 리모컨도 상태 점검해보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