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건강정보

귀 안에 숨어 있는 균형 비밀, ‘전정기관’을 아시나요?

by 조이요정 2025. 5. 20.
 

 

 

어지럽거나, 가만히 서 있는데도

중심이 흔들리는 느낌이

들었던 적 있으신가요?

 

그럴 때 흔히 '빈혈인가?'

하고 넘기기 쉽지만,
실제로는 귀 속의 ‘전정기관’

때문일 수 있습니다.

 

전정기관이 뭐길래?

 

전정기관은 귀의 가장 안쪽,

내이라고 불리는 부위에 있습니다.
세반고리관, 난형낭, 구형낭이라는

이름의 구조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

 

이 기관들은 머리의 움직임과

위치를 감지해서
몸의 균형을 맞추는 데

꼭 필요한 정보를 뇌로 보내줍니다.


즉, 우리가 쓰러지지 않고

서 있고 걷는 데 꼭 필요한 시스템입니다.

 

✔ 전정기관은 어떻게 작동할까?

전정기관의 부위별 역할은 아래와 같습니다.

 

전정기관 부위 감지하는 정보 작동 원리 요약
세반고리관 머리의 회전 림프액이 회전 방향에 따라 움직이며 섬모 자극
난형낭 & 구형낭 몸의 기울기, 직선 가속도 '이석(작은 돌)'이 움직이며 섬모를 자극해 뇌로 신호 전달

 

💡 뇌는 이 정보를 바탕으로

눈, 근육, 팔다리의 움직임을 조절하여

균형을 유지합니다.

 

✔ 전정기관에 문제가 생기면?

전정기관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

아래와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.

 

증상 설명
어지럼증 주변이 빙글빙글 도는 듯한 느낌
구역·구토 속이 울렁거리거나 토할 것 같은 느낌
눈 떨림 (안진) 눈이 무의식적으로 좌우로 흔들리는 현상
걸음걸이 불안정 중심을 못 잡고 비틀거리며 걷는 증상

 

이런 증상은 ‘메니에르병’, ‘전정신경염’,

‘양성돌발성체위성어지럼증(BPPV)’ 등
귀 관련 질환과도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.


단순한 빈혈이나 피로로 오해하지 말고,

증상이 반복되면 꼭 병원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.

 

✔ 전정기관을 건강하게 지키는 방법

전정기관도 꾸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.
아래 방법들을 일상에서 실천해보세요.

 

1️⃣ 규칙적인 가벼운 운동

전정기관을 자연스럽게

자극해 기능 유지를 도와줍니다.

(산책, 스트레칭 등 추천)

 

2️⃣ 충분한 수면과 스트레스 조절

과로·불면·긴장은 전정기관의 균형 조절에

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.

 

3️⃣ 전정 재활 운동

어지럼증이 있을 땐 방치하지 말고,

전문가의 지도로 회복 훈련을 받아보세요.

 

4️⃣ 건강한 귀 관리

이어폰 과사용, 면봉 깊숙이 사용 등은

귀 내부에 자극을 줄 수 있으니 주의

 

5️⃣ 정기적인 이비인후과 검진

어지럼증이나 균형 이상이 반복된다면

조기에 진단받는 것이 중요합니다.

 

이런 분들은 특히 주의하세요

👉 잦은 어지럼증을 경험하는 분

👉 눈을 감았을 때 중심 잡기 어려운 분

👉 멀미나 회전 자극에 민감한 분

👉 전정기관은 나이가 들수록 약해질 수 있기 때문에,
👉 중장년층이라면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.

 

✔ 마무리

우리가 균형을 잡고

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는 건,
귀 속 작은 기관이 쉬지 않고

열일하고 있기 때문입니다.

 

오늘 하루, 귀도 한 번 챙겨보세요!
몸의 균형은 귀가 잡는다,

이젠 정말 맞는 말이죠? 😊